6.x 버전대

아문센 프로젝트용 본문 Terms 가공 모듈 - 최종 적합은 glossary

아문센 프로젝트용 본문 Terms 가공 모듈 - 최종 적합은 glossary

드루지기들이 최근 수행하고 있는 가칭 아문센 프로젝트에는,
관리자에서 설정한 용어들(텀즈)들을 위 첨부 그림처럼
주석 보이게 하는 과제가 있었다.

용도가 비슷한 입력필터 모듈이 있었지만,
카테고리 분류 기능까지 필요했으므로 최종 사용하기로 한 것은
glossary 모듈 - http://drupal.org/project/glossary
이다. (이하 그로서리)

여러 후보들 특히 glossify 등의 모듈들이 있었지만,
다국어 지원 문제나 손쉬운 운영관리 면을 고려해 최종 그로서리 모듈로 낙점이 됐다.

설치 및 사용법을 메모해 둔다.


1. 모듈을 설치/활성화한다.

2. 관리 >> 입력 형식에서 디폴트 타입(혹은 컨텐츠 타입에 맞게)을 지정한다.
여기서는 예로 Filtered HTML을 지정.

3. 관리 >> admin/settings/glossary 에 가면 그로서리 모듈에 대한
세세한 부분을 설정 가능한데, 아래 항목들을 체크해 두는 것이 좋다.

3.1 그로서리 설정화면에서, 아까 예로 든 Filtered HTML 탭을 선택.

- Select Vocabulary:에 있는 Taxonomy 항목들.

- Link type:노멀

3.2 그로서리 설정화면에서, 일반(번역에 따라 "공통") 탭을 선택.

- Show glossary across many smaller pages를 체크.

REST Server 모듈을 설치하려고 하나, spyc 라이브러리의 부족으로 활성화가 되지 않는 경우.

Services모듈을 사용해 드루팔 C/S개발 환경을 꾸미려고,
REST Server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려고 하니,
spyc 라이브러리의 부족으로 활성화가 되지 않았다.

이런 경우, 아래 주소에서 spyc 관련 소스를 다운로드 받아,
http://spyc.googlecode.com/files/spyc-0.5.zip

드루팔의 아래 폴더에
modules/services/servers/rest_server/lib

spyc.php를 복사해 넣으면 된다.

참고 주소 ; http://drupal.org/node/1349836

드루팔 모듈 사용순위별 랭킹

드루팔 모듈 사용순위별 랭킹.

http://drupal.org/project/usage

에 가면 사용빈도에 따른 모듈 일람이 있다.
아주 무거운 페이지이므로 인내를 요한다.

본문 내 키워드로 링크 및 카테고리를 자동생성하는 모듈들 (조사중)

(각각의 모듈들을 조사 중 작성한 글이라, 완성도가 다소 떨어지는 글입니다)

http://drupal.org/project/linkintel
/admin/settings/linkintel 에서 설정, 링크크론을 리셋할 수도 있다.
크론에 의지해서 정기적으로 관련 링크 작성.
링크가 생성되면 관련 노드의 본문 우측상단 탭에 결과가 표시됨.
첨부 이미지 참고.

현재까지 살핀 바로는 가장 좋아 보인다.

-----------------------------------------------

http://drupal.org/project/glossify
링크를 생성할 키워드를 일일이 Taxonomy로 설정.
아래 모듈이 함께 필요하다.
http://drupal.org/project/simplehtmldom

* 다국어 환경에서 키워드 링크 걸 때 버그가 있는 듯 하다.

설치/활성화 후 주의점 둘.
- Make sure to enable the Glossify filter for the input-formats here: /admin/settings/filters/list
- Install the Hovertip module to use hovertips http://drupal.org/project/hovertip

-----------------------------------------------

http://drupal.org/project/alinks
이 모듈도 링크를 생성할 키워드를 일일이 설정해야 하는 것이 부담.

Audit Files 모듈 - 업로드 된 첨부 파일과 드루팔 디비 정보에 담간 파일정보가 일치하는 지 확인

Audit Files 모듈에 대한 간단 메모이다.
http://drupal.org/project/auditfiles

업로드 된 첨부 파일과 드루팔 디비 정보에 담간 파일정보가 일치하는 지 확인해 준다.

서버 이관시의 정합성 체크 혹은, 오래된 미사용 파일과 링크 깨진 파일의 점검에 유용하다.

http://drupal.org/project/auditfiles

glossify모듈을 설치/활성화한 후의 warning: preg_replace() [function.preg-replace]: Compilation failed: support for \P, \p, and \X 경고 메시지 대처법.

glossify모듈을 설치/활성화한 후의 warning: preg_replace() [function.preg-replace]: Compilation failed: support for \P, \p, and \X 경고 메시지 대처법.

・현상 : glossify모듈을 설치/활성화한 후, 에러는 아니지만 관리자 화면에 아래와 같은 경고가 나타났다.

warning: preg_replace() [function.preg-replace]: Compilation failed: support for \P, \p, and \X has not been compiled at offset 5 in /드루팔이 설치된 디렉토리/sites/all/modules/glossify/glossify.module on line 414.

・원인 : 호스팅 OS상의 PCRE Unicode support 문제이다.

・해결 : 아래와 같이 시스템 패키지를 수정해야 한다. (루트 권한 필요.)


기존의 현상의 확인.

# pcretest -C

PCRE version 6.6 06-Feb-2006
Compiled with
UTF-8 support
No Unicode properties support
Newline character is LF
Internal link size = 2
POSIX malloc threshold = 10
Default match limit = 10000000

경고 메시지 대처법 - Strict warning: strtotime(): It is not safe to rely on the system's timezone settings.

경고 메시지 대처법 - Strict warning: strtotime(): It is not safe to rely on the system's timezone settings.

・현상 : 호스팅 서버의 PHP 버전을 업그레이드한 후, 에러는 아니지만 드루팔 관리자 화면에 아래와 같은 경고가 잔뜩 나타났다.

Strict warning: strtotime(): It is not safe to rely on the system's timezone settings.
Please use the date.timezone setting, the TZ environment variable or the date_default_timezone_set() function. In case you used any of those methods and you are still getting this warning, you most likely misspelled the timezone identifier. e selected '...지역그룹/지역...' for '...타임존 설정...' instead in ... 함수명 ... 모듈명.

・원인 : php.ini의 타임존 설정이 잘못되거나 공백인 탓이다.

・해결 : php.ini를 백업한 후 아래와 같이 수정해야 한다.
    (호스팅 회사에 의뢰할 수도 있지만, 요즘 호스팅은 VPS인 경우가 많아서 독자적으로 수정 가능. 루트 권한 필요.)


기존의 문제 부분.

[Date]

MultiGroup모듈과 FieldGroup모듈의 차이점

CCK를 이용해서 노드의 필드를 만들 수 있는데, 이를 그룹화하는 방법으로는
MultiGroup모듈과 FieldGroup모듈, 그리고 직접 코딩에 의한 제3의 방법이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MultiGroup모듈이 가장 편하다. 하지만 커스터마이징이 많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프로젝트라면 직접 코딩이 제격.

Content모듈의 하위 모듈인,
MultiGroup모듈과 FieldGroup모듈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그룹화된 필드들"의 복수개 지정 여부와 병렬 표시 가능성이다.

전자는 이것이 아주 잘 돼 있고, 후자는 병렬 표시가 어려워 그룹화 필드의 의미가 무색하다.

===

커스터마이징이 많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프로젝트라면 직접 코딩이 좋은데,
이에 관련된 좋은 문서(아쉽게도 영어)가 있어 소개한다.

Creating a Compound Field Module for CCK in Drupal 6.x
http://poplarware.com/articles/cck_field_module

드루팔 6.x대 이상에서 이미지에 WaterMark를 적용하고 싶은 경우.

드루팔 6.x대 이상에서 이미지에 WaterMark를 적용하고 싶은 경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WaterMark 모듈이 6.x대에서는 지원이 안돼 아쉬웠는데,
ImageCache 의 하위 모듈로 Imagecache Effects 모듈이 있습니다.
이 모듈은 6.x대도 지원하네요.

http://drupal.org/project/imagecache_effects

이미지 캐쉬 모듈은 드루팔의 필수 모듈에 준할 만큼 굉장히 유용합니다.
이미지 캐쉬 모듈과 이미지 캐쉬 이펙트 모듈을 응용해서 워터마크를 설정하는 절차입니다.

1. 이미지 캐쉬 모듈 설치/활성화.
2. 이미지 캐쉬 이펙트 모듈 설치/활성화.
3. 관리화면에서 이미지 캐쉬의 프리셋을 하나 만들고,
그 액션 중에 워터마크를 선택, 워터마크 이미지를 적용하면 완료.

혹시 이미지 캐쉬 이펙트 모듈에서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난다면,
http://drupal.org/node/413198#comment-2050132
의 패치를 적용해 주세요.


* warning: imagealphablending(): supplied argument is not a valid Image resource in .../public_html/drupal/sites/all/modules/imagecache_effects/imageapi.inc on line 85.

Google CSE를 이용해서 해당 사이트의 구글 검색 결과를 임베이드해보자

* 아래 팁은 https 환경에서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 아래 팁은 2020년 이후로는 작동을 보증할 수 없습니다.
* 2020년 이후로는 구글에서 생성한 코드로 커스텀 검색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최종 댓글을 참고)

--- (아래 글은 파기 대상) ---

웹 생태계는 끊임없이 변한다. 그 와중에,
구글 검색 결과를 사이트에 접목하는 과거의 자료를 갱신하게 되었다. (드루팔8 기준)

애드센스를 이용하지 않고 아래 주소에서 바로 자바스크립트를 생성, Google CSE모듈에 해당 커스텀 검색엔진 아이디만 넣으면 바로 작동하는 형태이다.


1. 우선 관리자 계정으로 Google CSE 모듈을 설치/활성화한다.
https://www.drupal.org/project/google_cse
의존성 관계로 Search 모듈도 활성화해야 한다.

2. admin/config/search/pages 메뉴에 가서, Search Page Type항목에서 Google CSE Search를 하나 추가한다.
추가된 항목을 검색 Defaults로 설정한다. 해당 Google CSE Search에서 수정을 눌러
Google Custom Search Engine 항목에 값을 입력할 준비를 한다.

3. https://cse.google.com/cse/all 로 가서 해당 사이트를 등록하고 Google Custom Search Engine ID 를 발급받는다.
해당 사이트의 도메인을 입력하는 것을 잊지말자.

Syndicate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