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

아문센 프로젝트용 본문 Terms 가공 모듈 - 최종 적합은 glossary

아문센 프로젝트용 본문 Terms 가공 모듈 - 최종 적합은 glossary

드루지기들이 최근 수행하고 있는 가칭 아문센 프로젝트에는,
관리자에서 설정한 용어들(텀즈)들을 위 첨부 그림처럼
주석 보이게 하는 과제가 있었다.

용도가 비슷한 입력필터 모듈이 있었지만,
카테고리 분류 기능까지 필요했으므로 최종 사용하기로 한 것은
glossary 모듈 - http://drupal.org/project/glossary
이다. (이하 그로서리)

여러 후보들 특히 glossify 등의 모듈들이 있었지만,
다국어 지원 문제나 손쉬운 운영관리 면을 고려해 최종 그로서리 모듈로 낙점이 됐다.

설치 및 사용법을 메모해 둔다.


1. 모듈을 설치/활성화한다.

2. 관리 >> 입력 형식에서 디폴트 타입(혹은 컨텐츠 타입에 맞게)을 지정한다.
여기서는 예로 Filtered HTML을 지정.

3. 관리 >> admin/settings/glossary 에 가면 그로서리 모듈에 대한
세세한 부분을 설정 가능한데, 아래 항목들을 체크해 두는 것이 좋다.

3.1 그로서리 설정화면에서, 아까 예로 든 Filtered HTML 탭을 선택.

- Select Vocabulary:에 있는 Taxonomy 항목들.

- Link type:노멀

3.2 그로서리 설정화면에서, 일반(번역에 따라 "공통") 탭을 선택.

- Show glossary across many smaller pages를 체크.

Reference 필드를 이용한 Views의 RelationShip 연결

Reference 필드를 이용한 Views의 RelationShip 연결은,
마치 관계 DB에서의 JOIN과 비슷한 결과를 보여준다.

http://drupal.org/node/289738
에 좋은 예가 있다. 아티스트와 노래 목록의 연결 표시 예이다.

또다른 예로,
Services Views 을 이용한 REST결과에 파일 패스가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http://drupal.org/node/508388
에 알려진 것처럼,
Views 설정 화면의 필드 항목에서
Content : File URL을 선택할 것이 아니라,
File : File Path를 지정하면 (부분적인 패스지만) 문제가 해소된다.

컨텐츠 생산성을 올려주는 Taxonomy (카테고리 분류화) 관련의 몇몇 모듈들

컨텐츠 생산성을 올려주는 Taxonomy (카테고리 분류화) 관련의 몇몇 모듈들
----------------------------------------------------------------------

이전에는,
컨텐츠 생산성을 올려주는 Input Filter (입력 필터) 관련의 몇몇 모듈들에 관해
기술했으나 이번에는 Taxonomy (카테고리 분류화)와 관련된 모듈들을 안내한다.

향후, 본 글을 다시 정제하되 아래의 기준으로 재분류할 것이다.
- Taxonomy를 이용한 블럭 표시가 주된 기능인 모듈 기준
- 카테고리 분류를 브라우징 하거나 전체적으로 인덱싱하는 모듈 기준
- 클라우드 태그 기능이 중심인 모듈 기준
- Taxonomy를 사용자별/컨텐츠타입별로 권한 조정하는 모듈 기준
- 여타 기준...

현재는 알파벳 순으로 기록한다. 글 내용이 그다지 상세하지 못한 점, 이해 바란다.


1. (중요!) Active Tags 모듈 - http://drupal.org/project/active_tags

컨텐츠를 생성할 때에, 동적으로 태그를 추가해서 Terms 항목을 늘린다.
이와 비슷한 모듈로 InlineTags 모듈이 있는데 Active Tags가 더 사용성이 좋다.

사용 예제 이미지인 http://drupal.org/node/307355 를 보면 금방 이해될 것이다.

Syndicate content